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시험/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기사] 비 전공자 정처기 독학하기 (2) - 필기 시험 공부

by 민졈 2022. 6. 9.

 

 

 

 

 

 

 

저번 포스팅에 이어서 어떻게 공부했는지 이야기해보겠다.

 

 

우선 당시 상황은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이었고 3회차 시험을 목표로 공부했다.

 

 

 

오픈조 근무였기 때문에 아침 6시 ~ 2시 일하고 공부했었다.

 

 

 

 

웃긴 건 3회차 시험이 7월인줄 알고 (당시 20년 6월 초)

 

와 나 비전공자인데... 지식도 없는데 한달 뒤에 시험이라고...??

 

진짜 빡세게 공부해야겠다! 고 생각하고 알바 끝나고 독서실 가서

 

하루에 4,5시간씩 공부 했는데 알고 봤더니 접수날짜였다고,,

 

덕분에(?) 한달이라는 시간이 더 주어졌기에 약 3달의 시간동안

 

초반에 생각했던 죽을 각오 보다는 조금 널널한 마음으로 공부했다.

 

 

 

 

 

 

 

공부 기간 및 공부 방법을 이야기 하자면 이렇다.

 

 

 

 

- 공부 기간 3달 (2달은 하루에 4-5시간 / 나머지 1달은 하루 6-7시간)

 

- 일주일에 3, 4일

 

- 시나공 책 2회독 + CBT 기출 문제 풀기 + 20년 1,2회 필기 시험 복원 문제

 

 

 

 

 

공부하는 첫 두달은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아르바이트가 끝나고 오후 ~ 저녁 시간을 이용해서 공부했고

 

나머지 한달은 아르바이트를 관두고 공부했기 때문에 최대한 많은 시간을 공부했다.

 

 

 

 

 

살인적인 시나공 책 두께....

 

 

이 두 달 동안은 책 정독만 했다.

 

총 2번의 회독을 했는데 첫 회독은 이해하려고 하지 않고 그냥 눈으로 읽었다.

 

뭐든지 기록하는 성격이 아니라 공부하는걸 기록해놓은 사진이나 자료는 별로 없었지만

 

그냥 인스타에 스토리 남기는건 잘해서 (스토리 충)

 

위의 사진들이 그나마 필기 공부하며 남아있던 자료다.

 

 

 

 

 

 

 

두번째 회독 할 때는 위 처럼 노트에 중요 내용을 필기하면서 읽었다.

 

때문에 첫 회독보다 두번째 회독이 더 오래 걸렸지만 한번 읽었던 내용이고

 

필기하면서 외우는 식으로 읽었기 때문에 내용이 더 잘 들어왔던 것 같다.

 

 

 

 

 

 

그리고 중요!!! 내가 본 년도(2020년) 에 정보처리기사 시험이 개편되었다.

 

 

 

개편 전 과목은

 

1. 데이터베이스

2. 전자계산기 구조

3. 운영체제

4. 소프트웨어 공학

5. 데이터통신

 

 

이렇게 다섯과목으로 되어있었지만

 

개편 후는

 

1. 소프트웨어 설계

2. 소프트웨어 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 정보시스템 구축

 

이렇게 다섯 과목으로 변경되었다.

 

 

 

 

 

개편 전, 후가 조금 많이 달라보일 수 있지만

 

이 중 세과목은 기존 기출 문제를 풀어도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개편 전, 후가 동일하게 다섯 과목이지만 전자계산기 구조 과목은 삭제되었기 때문에

 

CBT 문제를 푼다면 과감하게 제외하고 풀면 된다.

 

 

 

개편 전의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공학은 80~90% 흡사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소프트웨어 공학이 1,2 과목의 설계와 개발로 나누어졌다.

 

운영체제는 조금 더 심화되어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구축으로 변경되었다.

 

 

 

 

CBT는 설명하지 않아도 아마 많은 다른 공부했던 분들이 언급했을텐데

 

위에 언급했던 것 처럼 개편 전의 세과목(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공학)

 

CBT 사이트에 들어가서 푸는 기출문제로도 충분히 공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https://www.comcbt.com/

 

최강 자격증 기출문제 전자문제집 CBT

전자문제집, CBT, 컴씨비티, 씨비티,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컴활, 컴퓨터활용능력, 1급, 2급, 워드, 정보처리, 전기, 소방, 기계, 사무자동화, 정보기기, 제과, 제빵, 한국사, 공무원, 수능, 필기,

www.comcbt.com

 

 

 

 

그리고 개편 후의 기출에 없는 나머지 과목을 위해

 

20년도 1,2회차 복원 문제를 보며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올지 감을 익혔다.

 

 

 

블로그를 잘 찾아보면 아마 20년 ~ 22년 2회차까지 복원 문제가 있을테니

 

잘 찾아보고 문제를 풀어보면 좋을 것 같다.

 

 

 

아래 링크는 당시 1,2 회차 필기 복원 문제이다.

 

https://edushare.tistory.com/tag/2020%EB%85%84%20%EC%A0%95%EB%B3%B4%EC%B2%98%EB%A6%AC%EA%B8%B0%EC%82%AC%20%ED%95%84%EA%B8%B0%EB%AC%B8%EC%A0%9C

 

에듀쉐어 - 강좌공유

강좌공유를 통해 지식을 나누는 에듀쉐어 네트워크 강좌, 서버/클라우드 강좌, 정보보안 강좌, 웹/앱 개발 강좌 등 다양한 강좌가 있어요 IT정보 공유 환영. 함께 성장하는 에듀쉐어 구독/좋아요

edushare.tistory.com

 

 

 

 

필기 시험이 조금 쉽다고 하는 얘기를 많이 들어봤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기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시험 유형이고 4지선다이기 때문에

 

몰라도 맞출 가능성이 25%는 있다. (ㅋㅋㅋㅋㅋㅋㅋ)

 

 

찍는 것도 실력이다!!

 

 

 

개편이 되었다해도 20년에서 2년이라는 시간이 지났고

 

그 기간동안 여러 번의 시험이 있었기 때문에

 

앞서 공부했던 선배님들의 꿀팁도 잘 찾아보고

 

자신 만의 공부 계획을 잘 세워서 부지런하게 공부한다면

 

무난하게 합격할 수 있는게 정처기 필기 시험인 것 같다.

 

 

 

 

 

 

별다른 합격 꿀팁은 없었을수도 있지만 그래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