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22

[Python] 01. 자료형 - 리스트 자료형 (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료형의 두번째! 리스트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리스트란? 리스트는 데이터들을 묶어서 관리할 수 있도록 순서를 정해서 관리하는 자료형입니다. 아파트의 101호부터 1204호까지 하나씩 변수로 만들게 되면 아래와 같이 하나씩 변수를 만들어줘야합니다. a1 = 101 a2 = 102 a3 = 103 ... a45 = 1201 a46 = 1202 a47 = 1203a48 = 1204 12층인데 호수가 4개 밖에 안되니까 일일히 만들어줄 수 있다고 해도 만약 그 이상이 된다면 조금 많이... 귀찮게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변수를 한번에 묶어서 관리할 수 있도록 리스트 자료형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1층부터 12층까지 1호만 리스트로 나타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a = [.. 2022. 6. 10.
[Python] 01. 자료형 - 문자열 포매팅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문자열 포매팅을 더 활용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듯이 아래의 포맷 코드는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드 설명 %s 문자열(String) %c 문자 1개(character) %d 정수 %f 부동소수 %o 8진수 %x 16진수 %% Literal % (문자 % 자체) 1. 정렬과 공백 문자열을 작성할 때 왼쪽이나 오른쪽 정렬을 해야할 때는 아래의 예시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10s" % "hi" >>" hi" %10s는 전체 길이가 10개인 문자열 공간에서 대입되는 값을 오른쪽으로 정렬하고 그 앞의 나머지는 공백으로 남기라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왼쪽 정렬을 하고 싶을 때는 %-10s을 사용하면 되겠죠!! "%-10.. 2022. 6. 4.
[Python] 01. 자료형 - 문자열 자료형(2) 지난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이 무엇인지에 대해 배웠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포매팅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 인덱싱(indexing)이란? 인덱싱(indexing)이라는 단어는 무언가를 가리킨다는 뜻으로, 문자열 인덱싱은 문자열에 번호를 매겨 특정 문자를 찾는 것을 말합니다. 대게 숫자를 세면 1번부터 세지만 파이썬에서 문자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문자열 변수가 있을 때 y의 인덱스 번호는 몇 번일까요? string = "Hello Python" 7번 입니다! 왜 7번일까요??? 0부터 순서대로 센다고 해도 y는 6번째에 있는 글자인데 말이죠. 이는 인덱스가 공백을 포함해서 세기 때문입니다. Hello와 Python 사이에는 공백 한 칸이 .. 2022. 6. 3.
[Python] 01. 자료형 - 문자열 자료형(1) 지난 시간에는 파이썬의 자료형 그 중의 숫자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문자열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문자열이란? 문자열은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아래는 문자열의 예시입니다. 문자열이라고 하기엔 애매한 것이 있는데 바로 "1234"입니다. 하지만 이 "1234" 역시 문자열에 포함됩니다. 왜일까요? 파이썬에서는 큰따옴표(" ")로 둘러싸여있는 것들은 모두 문자열이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큰따옴표로 만들어진 것들은 모두 문자열이지만 문자열을 만드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습니다. 1. 큰따옴표( " )로 양쪽 둘러싸기 2. 작은따옴표( ' )로 양쪽 둘러싸기 3.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하여 양쪽 둘러싸기 4.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사용.. 2022. 6. 2.
[Python] 01. 자료형 - 숫자형(Number) 우선 Python을 시작하기에 앞서 파이썬 설치를 해야하는데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오늘은 파이썬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의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뜻합니다. 파이썬에는 숫자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불 자료형이 있는데 순서대로 차근차근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숫자형(Number) 숫자형(Number)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정수, 실수, 8진수, 16진수 등을 말합니다. 01. 정수형(Integer) 정수형이란 말 그대로 양의 정수, 음의 정수, 숫자 0을 말합니다. 02. 실수형(Float) 실수형은 소숫점이 포함된 숫자를 말합니다. 위의 방식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실수형.. 2022. 6. 1.
[JavaScript] 프로미스( Promise ) 이번 시간에는 프로미스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어떤 유명한 상점에 갔을 때 그 상점 만의 시그니처 상품을 사려고 했을 때 한번에 사면 정말 좋지만 부득이하게 재고가 없거나 이미 품절인 상태이거나 입고지연이 된다거나 하는 여러가지 이유로 상품을 사게되지 못할 때도 있다. 그렇다면 이럴 때 계속해서 매일 상점을 방문해서 재고 확인을 해야할까?? 이렇게 된다면 왔다갔다 하는 시간도 낭비하고 체력적으로도 힘들 것이다. 매우 좋지 않은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이럴 때 상점에 전화번호를 적어두고 상품이 들어오면 연락을 달라고 하는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상품이 들어오는 시간까지 다른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 절약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 프로미스이다. const p.. 2022. 3. 8.
[JavaScript] call, apply, bind 이번 시간에는 call, apply, bind에 대해 배워볼 것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일반적인 방법 외에도 함수를 어디서 어떻게 호출했느냐에 관계 없이 this를 지정할 수 있다. 1. call : call 메소드는 모든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this를 특정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 mike와 tom이라는 객체가 있고 showThisTime이라는 함수가 있을 때 showThisTime 함수를 호출한다면 어떨까? const mike = { name: "Mike", }; const tom = { name: "Tom", }; function showThisName () { console.log(this.name); } showThisName(); 아마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showThisNa.. 2022. 3. 7.
[JavaScript] 상속, 프로토타입 객체에는 그 객체가 프로퍼티 타입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가 있는데 이는 hasOwnProperty( ) 이다. const user = { name : 'Mike' } console.log(user.name); // 'Mike' user.hasOwnProperty('name'); // true user.hasOwnProperty('age'); // false 위처럼 hasOwnProperty( )를 통해 user는 name이라는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지만 age라는 프로퍼티 타입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프로토타입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기 위해서 상속이라는 개념을 사용해서 알아볼 것이다. 아래와 같이 bmw, benz, audi라는 객체가 있다. bmw는 navigation이 있.. 2022. 3. 6.
[JavaScript] 클로저( Closure ) 이해하기 이번 시간에는 클로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어휘적 환경을 갖는다. ( Lexical Environment ) 아래의 코드가 있을 때 어떻게 작동이 되는지 살펴보자, let one; one = 1; function addOne(num) { console.log(one + num); } addOne(5); // 6 코드가 실행되면 스크립트 내에서 선언한 변수들이 Lexical 환경으로 올라간다. 초기화 하지 않은 one은 사용할 수 없는 반면에 함수 선언문은 바로 초기화 되기 때문에 사용가능하다. 1. let one을 만났을 때 초기값이 할당을 받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는 나지 않지만 undefined가 난다. 2. 그 이후 one은 1을 할당 받는다. 3. 함수는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된다... 2022. 3.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