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 언어/Python

[Python] 01. 자료형 - 숫자형(Number)

by 민졈 2022. 6. 1.

 

우선 Python을 시작하기에 앞서 파이썬 설치를 해야하는데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오늘은 파이썬 자료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 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 등의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 것을 뜻합니다.

 

파이썬에는 숫자형, 문자열,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 불 자료형이 있는데

 

순서대로 차근차근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숫자형(Number)

 

숫자형(Number)이란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정수, 실수, 8진수, 16진수 등을 말합니다.

 

 

 

 

 

01. 정수형(Integer)

 

정수형이란 말 그대로 양의 정수, 음의 정수, 숫자 0을 말합니다.

 

 

 

 

 

 

02. 실수형(Float)

 

실수형은 소숫점이 포함된 숫자를 말합니다.

 

위의 방식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실수형의 표현 방식입니다.

 

 

 

 

 

 

 

03. 8진수와 16진수

 

8진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숫자가 0o 또는 0O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숫자 0 + 알파벳 소문자 o 또는 대문자 O)

 

 

 

16진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0x로 시작하면 됩니다.

 

 

 

 

 

 

 

 

04. 연산자

 

 

이런 숫자형을 연산할 수 있는 연산자가 있는데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있는 사칙연산(+, -, *, / )도 있지만 

 

프로그래밍에서 쓰이는 연산자가 있습니다.

 

 

 

 

 

x의 y 제곱을 나타내는 ** 연산자

 

** 연산자는 x ** y 처럼 사용했을 때 x의 y 제곱 값을 돌려줍니다.

 

 

 

 

 

나눗셈 후 나머지를 반환하는 % 연산자

 

%연산자는 나눗셈의 나머지 값을 돌려주는 연산자입니다.

 

아래의 예시를 확인해봅시다.

 

 

예시를 통해서 알 수 있듯이 7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1 이기 때문에 1이 반환되고

 

3을 7로 나눈 나머지는 3이기 때문에 3이 반환됩니다.

 

 

 

 

 

 

나눗셈 후 몫을 반환하는 // 연산자

 

우리가 알고 있는 / (나누기) 연산자는 나누는 결과 값을 반환하지만

 

// 연산자는 나눈 몫을 반환해줍니다.

 

 

 

 

 

 

 

 

 

이상으로 오늘은 파이썬의 숫자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파이썬의 문자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