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초3 [Python] 01. 자료형 - 리스트 자료형 (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료형의 두번째! 리스트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 리스트란? 리스트는 데이터들을 묶어서 관리할 수 있도록 순서를 정해서 관리하는 자료형입니다. 아파트의 101호부터 1204호까지 하나씩 변수로 만들게 되면 아래와 같이 하나씩 변수를 만들어줘야합니다. a1 = 101 a2 = 102 a3 = 103 ... a45 = 1201 a46 = 1202 a47 = 1203a48 = 1204 12층인데 호수가 4개 밖에 안되니까 일일히 만들어줄 수 있다고 해도 만약 그 이상이 된다면 조금 많이... 귀찮게 되겠죠? 그렇기 때문에 변수를 한번에 묶어서 관리할 수 있도록 리스트 자료형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1층부터 12층까지 1호만 리스트로 나타낸다면 아래와 같습니다. a = [.. 2022. 6. 10. [Python] 01. 자료형 - 문자열 포매팅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문자열 포매팅을 더 활용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이야기했듯이 아래의 포맷 코드는 숫자와 함께 사용하면 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코드 설명 %s 문자열(String) %c 문자 1개(character) %d 정수 %f 부동소수 %o 8진수 %x 16진수 %% Literal % (문자 % 자체) 1. 정렬과 공백 문자열을 작성할 때 왼쪽이나 오른쪽 정렬을 해야할 때는 아래의 예시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10s" % "hi" >>" hi" %10s는 전체 길이가 10개인 문자열 공간에서 대입되는 값을 오른쪽으로 정렬하고 그 앞의 나머지는 공백으로 남기라는 의미입니다. 반대로 왼쪽 정렬을 하고 싶을 때는 %-10s을 사용하면 되겠죠!! "%-10.. 2022. 6. 4. [Python] 01. 자료형 - 문자열 자료형(2) 지난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이 무엇인지에 대해 배웠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자열의 인덱싱과 슬라이싱, 포매팅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열 인덱싱(indexing)이란? 인덱싱(indexing)이라는 단어는 무언가를 가리킨다는 뜻으로, 문자열 인덱싱은 문자열에 번호를 매겨 특정 문자를 찾는 것을 말합니다. 대게 숫자를 세면 1번부터 세지만 파이썬에서 문자열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만약 아래와 같은 문자열 변수가 있을 때 y의 인덱스 번호는 몇 번일까요? string = "Hello Python" 7번 입니다! 왜 7번일까요??? 0부터 순서대로 센다고 해도 y는 6번째에 있는 글자인데 말이죠. 이는 인덱스가 공백을 포함해서 세기 때문입니다. Hello와 Python 사이에는 공백 한 칸이 .. 2022. 6. 3. 이전 1 다음 728x90